[한글맞춤법 공식사이트] 한글맞춤법 최신 버전 확인하는 방법, 국립국어원에서!

2023. 4. 25. 22:32도와줘/중고등

728x90

한글 맞춤법은 조선어학회가 1933년에 발표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하여 1988년에 제정되었는데요, 정확히는 법률은 아니고 규칙이에요. 국회에서 입법된 게 아니고, 행정기관이 일반에게 알리는 사항이기 때문이구요, TMI를 말씀드리자면 한글 맞춤법은 교육인적자원부고시, 표준어 규정은 문교부고시랍니다ㅎㅎㅎ

 

한글 맞춤법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도청 등 행정기관이나 교육문화원 등 공공기관의 홈페이지, 대학교 등 교육기관의 홈페이지 등에서도 볼 수 있고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도 확인이 가능해요!

 

다만 가장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고, 혹시 수정사항이 있다면 가장 반영이 잘 되는 최신의 규칙들은

아무래도 공식적으로 관리되는 기관에서 확인하는 게 제일 좋겠죠?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law.go.kr/행정규칙/한글맞춤법 

 

한글맞춤법

 

law.go.kr

우리나라의 모든 법령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에요.

가장 최신의 법령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혁이나 제정 및 개정 이유 등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

단순히 언어와 관련한 규칙이 아닌, 법령의 일부로서 한글 맞춤법의 지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이트라고 생각해요.

 

 

2.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예규·고시

https://mcst.go.kr/kor/s_data/ordinance/instruction/instructionView.jsp?pSeq=2145 

 

법령자료 - 훈령·예규·고시 - 한글 맞춤법 | 문화체육관광부

 

mcst.go.kr

부처의 훈령이나 예규, 고시 등이 업데이트되는 게시판으로서

이러한 공지들은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서 시스템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빠짐이 있을 수는 없겠죠!

다만 지금 내가 보는 이 항목이 가장 최신의 것인지는 한 번 더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답니다!

 

 

3. 국립국어원

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

흔히 국립국어원에서 가장 정리를 잘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오히려 경우에 따라서는 국가법령정보센터나 문화체육관광부에 비해서는 업데이트가 조금 더 느릴 수도 있어요.

물론 한글 맞춤법 자체가 잘 바뀌지 않고, 그만큼 거대한 행사로 인식될 수 있다보니

국립국어원에서도 한글 맞춤법 변경 사항이 있다면 이를 빠르게 반영하겠지만,

아무래도 변경 사항을 수시로 업데이트하기에 그러한 시스템이 갖추어져있는

국가법령정보센터나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에 비해서는 약간의 딜레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여기서 잠깐 퀴즈!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점은 알고 계신가요?

한 번 생각해보시고 잘 설명해주실 수 있는 분,

그리고 잘 모르겠다고 생각되며 질문이 생기신 분은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