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데 차이(2)
-
[헷갈리는 맞춤법] -한대 vs -한데 무엇이 맞을까? 쉽게 구분해보깅
'대'와 '데' 구분은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 맞춤법 중 하나예요. "철수 곧 승진한대"가 맞을까요, "철수 곧 승진한데"가 맞을까요? 정답은 상황에 따라 둘 다 맞아요! 직접 경험과 간접 경험의 차이인데요! 표준국어대사전 ※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말하는 사람이, 남에게서 말한 사실을 전달할 때에는 '-대'를 사용해주세요(한다고하더라) => 내가 영희에게서 들었는데, 철수 곧 승진한대!!! 말하는 사람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전할 때에는 '-데'를 사용해주세요(다고해) => 어제 내부 공지 봤는데, 철수 곧 승진한데!..
2023.04.27 -
[됐대 vs 됐데] 일이 잘못됐대 vs 일이 잘못됐데
됐대와 됐데,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요? 한국어에서 특히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는 됐대와 됐데입니다. 둘 다 맞니, 됐대가 맞니, 됐데가 맞니 의견이 분분한데요... 과연 뭐가 맞을까요? 사실 맞고 틀리고의 영역이 아닙니다. 됐대와 됐데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죠! 둘 다 실제로 존재하는 표현이지만, 상황에 따라 잘못 쓰이면 틀린 표현일 수도 있는 거죠. 일이 잘못됐대 -> 간접 경험. 들은 사실을 전달 "일이 잘못되었다더라~" 또는 "일이 잘못되었다고 하더라" 일이 잘못됐데 -> 직접 경험. 내가 본 사실을 전달 "일이 잘못되었더라???" 또는 "일이 잘못되었더라!!!" 생각보다 간단하죠? 첨언하자면, 위의 예문, '잘못되어었다더라', '잘못되었더라' 등에서 쓰인 '-더-'를 참고하시면 좋아요. 한국어에서..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