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맞춤법] 거에요 vs 거예요? 이거 언제까지 헷갈릴 거야!

2023. 4. 28. 01:57도와줘/중고등

728x90

거에요 vs 거예요, 이 난제의 정답은 거예요이다!

 

사실 되vs돼 논란과 비슷한 부분이라고 생각되는데,

예요 = 이+에요 라는 것을 고려하여 올바른 표현을 사용하면 된다.

 

그만 좀 틀리라고 확씨

 

 

일단, '거'의 정체는 뭘까?

이것 저것 할 때, 뭔가를 가리키는 '것'의 구어체, 즉 명사이다.

 

 

 

'이'는 뭘까?

교과서에서 '서술격 조사'라고 부르는 그 놈이다.

 

 

 

'에요'는 뭘까?

종결어미다.

어미
I.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1. 해요할 자리에 쓰며, 설명ㆍ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그건 내가 한 게 아니에요.

사전의 정의에서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에서 '이다'의 어간이,

'이에요'의 '이'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요의 준말이 예요이다.

 

이럼으로써 모든 설명이 완료되었다.

 

 

즉, '이에요'란

체언 (것) + 서술격 조사 (이) + 종결어미 (에요)

이렇게 구성된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조금 덧붙이자면...

 

1.  '에요'는 '어미'이므로 체언 뒤에 붙을 수가 없다.

=> 이에요.

=> 아니에요.

위 두 예시만 '-에요'가 쓰인다.

 

2.  사실상 체언 뒤에는 무조건 '예요'만 올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저 네모난 건 리모컨예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은 라면예요.

여기 지우개 떨어뜨린 사람 누구야?  철수예요.

아플 때 먹으면 좋은 죽예요. 좀 드세요.

 

 

3. '이예요'라는 문법 표현은 없다.

만약 '이예요'가 사용되었다면

Q. 너 잇몸에 달려 있는 그게 뭐니!?!?!

A. 이예요.

해설:   이(teeth) + 이에요 →  이 + 예요  →  이예요

라는 말이다.

 

 

이상으로 거에요vs거예요 정리 끗!!!

질문 있으면 댓글로 하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