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줘/중고등(22)
-
[한글맞춤법 공식사이트] 한글맞춤법 최신 버전 확인하는 방법, 국립국어원에서!
한글 맞춤법은 조선어학회가 1933년에 발표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바탕으로 하여 1988년에 제정되었는데요, 정확히는 법률은 아니고 규칙이에요. 국회에서 입법된 게 아니고, 행정기관이 일반에게 알리는 사항이기 때문이구요, TMI를 말씀드리자면 한글 맞춤법은 교육인적자원부고시, 표준어 규정은 문교부고시랍니다ㅎㅎㅎ 한글 맞춤법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도청 등 행정기관이나 교육문화원 등 공공기관의 홈페이지, 대학교 등 교육기관의 홈페이지 등에서도 볼 수 있고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도 확인이 가능해요! 다만 가장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고, 혹시 수정사항이 있다면 가장 반영이 잘 되는 최신의 규칙들은 아무래도 공식적으로 관리되는 기관에서 확인하는 게 제일 좋겠죠?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
2023.04.25 -
[일일이vs일일히, 곰곰이vs곰곰히, 따뜻이vs따뜻히] 히이익..;;
헷갈리는 -이, -히! 특히 많이 헷갈리는 것들을 모아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일단 파란색이 정답입니당 ㅎㅋㅎ 일일이 vs 일일히 곰곰이 vs 곰곰히 따뜻이 vs 따뜻히 깨끗이 vs 깨끗히 반듯이 vs 반듯히 버젓이 vs 버젓히 간간이 vs 간간히 짬짬이 vs 짬짬히 어라 쓰고보니 다 '이'로 끝나네요? '히'로 끝나는건 없나요?라고 물어보면, 그건 아니고... 아래와 같은 단어는 '-히'로 끝나요! 가만히 특별히 익숙히 가득히 급급히 열심히 엄격히 정확히 나른히 그럼 대체 '-이'와 '-히'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1. 한글맞춤법 제51항 소리 및 발음에 따라서 부사의 끝 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 ..
2023.04.25 -
[됐대 vs 됐데] 일이 잘못됐대 vs 일이 잘못됐데
됐대와 됐데, 무엇이 옳은 표현일까요? 한국어에서 특히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는 됐대와 됐데입니다. 둘 다 맞니, 됐대가 맞니, 됐데가 맞니 의견이 분분한데요... 과연 뭐가 맞을까요? 사실 맞고 틀리고의 영역이 아닙니다. 됐대와 됐데는 쓰임이 다르기 때문이죠! 둘 다 실제로 존재하는 표현이지만, 상황에 따라 잘못 쓰이면 틀린 표현일 수도 있는 거죠. 일이 잘못됐대 -> 간접 경험. 들은 사실을 전달 "일이 잘못되었다더라~" 또는 "일이 잘못되었다고 하더라" 일이 잘못됐데 -> 직접 경험. 내가 본 사실을 전달 "일이 잘못되었더라???" 또는 "일이 잘못되었더라!!!" 생각보다 간단하죠? 첨언하자면, 위의 예문, '잘못되어었다더라', '잘못되었더라' 등에서 쓰인 '-더-'를 참고하시면 좋아요. 한국어에서..
2023.04.15 -
~를 잘하다, ~를 능숙하게 한다를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면?
be good at만 배워온 우리... 실제로는 be good at만 쓰는게 아닌데요...! be good at "어떤 행위나 동작(-ing)에 능숙하다"의 느낌 I'm good at cooking. (90점) I'm a good cook. (100점) 가장 영어스러운 표현 *Q. 부정문으로 not good at만 쓰일 수 있나요? *A. 아뇨, be bad at도 사용 가능합니다! be good with "잘 다룬다" 정도의 느낌 I'm not good with computer. 나는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한다. (100점) She is good with number. 그녀는 숫자를 잘 다룬다. (100점) be good at vs be good in Alice is good at English -> ..
2023.03.20